비주얼 스튜디오가 2022 버전까지 나온 관계로 이전 버전 설치 하려면 다른 경로로 접근해야 함.
Visual Studio 2019 버전 16.11 릴리스 정보 | Microsoft Docs
Visual Studio 2019 버전 16.11 릴리스 정보
Visual Studio 2019 v16.11의 최신 기능, 버그 수정, 지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금 다운로드하세요.
docs.microsoft.com
Download Community 2019 를 클릭해서 설치 파일 다운로드.
설치 파일 용량은 1메가로 인터넷으로 제품을 다운 받아 설치하는 형식이다.
실행 하면 아래와 같이 Installer 가 실행 된다.
계속을 누르면 파일을 다운로드를 진행한다.
설치 할 항목을 선택한다.
여기서 C++를 사용한 데스트톱 개발을 선택 할 건데 python 이나 node.js 개발, 모바일 개발이나 게임 개발도 스크롤을 내리면 나오는데 다른 컴파일러가 좀 더 편해서 안쓰게 된다.
C++ 을 클릭하면 오른쪽에 설치 세부 정보가 나온다. Test Adapter for Booost Test 가 기본으로 설정 되어 있는데 spring boot 에 unit 테스트 용도와 비슷해 보인다.
왼쪽 밑에 설치 위치 변경 할 수 있는 변경.. 부분이 있고 오른쪽 밑네 Install 버튼을 클릭하면 설치가 시작된다.
8기가 정도 다운받아 설치하니 꽤 걸린다... 오른쪽에 개발자 뉴스에서 열심히 새로운 비주얼 스튜디오 2022 버전에 대한 광고를 한다.
완료 된 화면. 4core 16G Mem VM에서 한 30분 걸린듯
깔끔한 첫 구동 화면
계정 만들어서 프로그램 설정 동기화 및 여러 서비스를 사용하게 도와주지만 구지 로그인 안해도 상관 없다. 나중에 로그인으로 진행.
개발 설정 탭을 선택하면 시작 시 사용할 언어를 선택 (C++) 하면 된다. 색 테마도 설정하는데 요즘 대세인 다크에 맞게 어둡게로 선택.
Visual Studio 시작 버튼을 누르면 이제 설정한 모습으로 기동 된다.
첫 화면에서 프로젝트 선택을 묻는다.
새 프로젝트 만들기를 눌러 신규 프로젝트를 생성해 본다. 종류가 많다. 보통 빈 솔루션으로 직접 작성해서 해보는게 좋으나 간단한 Hello World 출력을 하려면 콘솔 앱으로 선택하는게 편하다. 밑으로 스크롤 하면 동적, 정적 라이브러리 만들기나 단위 테스트나 ATL 도 있으니 필요하면 선택하여 사용한다. 여기선 콘솔 앱으로 선택하여 진행.
프로젝트 이름이랑 위치 솔루션 이름을 작성한다. '솔루션 및 프로젝트를 같은 디렉터리에 배치' 는 보통 언체크해서 사용하는게 좋다. 프로젝트 안에 여러 솔루션을 작성하는게 보통이긴하니 상관 없다면 체크해서 사용. 기본으로 하고 만들기 클릭
그럼 이제 실제 코딩을 시작할 메인 화면이 나온다. 왼쪽에 프로젝트의 속성이나 파일 등을 설정하는 솔루션 탐색기 탭이 있고 메인 화면에 ConsoleApplication1.cpp 라는 파일의 내용을 보여준다. 위에 탭에 여러가지 많다. 봐야할건 Debug 부분과 x86 부분이다. Debug 는 보통 처음 개발 당시에만 설정하고 완료 후에는 Release로 설정하여 배포 한다. Debug로 만든 프로그램은 로컬 즉 본인 PC에서만 동작한다. 그다음 x86은 컴파일 비트를 나타낸다 보통 32비트라고 부르며 x64로 설정하여 64비트로 설정할 수 있다. 라이브러리로 사용 시에는 사용 비트를 확인해서 변경하면 된다. 단독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에는 대부분 OS에서 다 호환 하니 그냥 사용 하면 된다.
위에 > 로컬 windows 디버거 를 클릭해 보자. 아래 탭이 생성 되면서. ConsoleApplication1.cpp 파일을 컴파일 하고 실행까지 해준다. 해당 버튼으로 소스를 빌드하고 빌드 된 실행 파일을 실행 했다고 생각하면 된다.
아래 실행 화면. Hello World 가 찍힌 것을 볼 수 있다.
'언어 >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 비주얼 스튜디오 SQL server 접속 (0) | 2023.04.24 |
---|
댓글